1. Pin Configurations
ATmega328p에서 정의하는 여러 가지 pin들에 대해 알아보자.
VCC - digital supply voltage
GND - ground
Port B (PB7:0)
- bi-directional IO : 8bit 짜리 레지스터에 읽고 쓰기가 모두 가능하다는 것이다.
- internal pull-up : 풀업저항을 세팅해서 안정적으로 High 상태를 유지한다. internal하므로 풀업 저항을 따로 달아주지 않고 프로그래머가 풀업 저항을 activate하면 풀업 상태가 된다.
- symmetrical drive characteristics : 소스 전류와 싱크 전류 모두 가능하다는 말로, 즉 출력이 HIGH도 되고 LOW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.
- tri-stated : 리셋하면 아마 Hi-Z가 된다는 얘기같다. 그러면 출력이 0, 1, Z 이렇게 3개다.
- oscillator amplifier 활용(PB6, PB7) : PB6(=XTAL1)을 외부 크리스탈 오실리에이터의 input으로, PB7(=XTAL2)을 출력으로 설정 가능하다는 말이다. 즉 내부 클록이 아니라 외부 크리스털로 MCU를 구동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.
- 내부 clk 생성(PB6, PB7) : PB6(=TOSC1), PB7(=TOSC2)를 내부 RC 오실리에이터에 연결해서 메인 클록과 독립적인 클록을 만들 수 있다.
Port C (PC5:0)
- 7bit 양방향 i/o port이다. 근데 PC6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므로 PC5..0 까지만 이용한다.
PC6/RESET
- 만약 RSTDISBL fuse가 programm되지 않았다면, PC6은 reset으로 쓰인다. PC6에 low 신호가 일정 length 이상 지속된다면 reset이 진행된다.
Port D (PD7:0) - PortB와 같다.
AVcc - 주로 ADC 등을 위해 연결한다.
AREF - ADC에 이용되는 analong reference pin이다.
ADC7:6 - ADC의 아날로그 인풋에 해당한다.
'Embedded SW > ATmega328p Datashe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tasheet] 6. AVR CPU Core (0) | 2025.02.27 |
---|---|
[Datasheet] 2. Overview (1) | 2025.02.23 |
[Datasheet] 0. Datasheet는 최고의 과외선생이다. (0) | 2025.02.22 |